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파이썬
- SQL공부
- 안드류응
- DATE_FORMAT
- Andrew NG
- groupby
- POP
- coursera
- PYTHON
- mysql
- programmers
- orderby
- 코세라머신러닝
- 코세라
- Machine Learning
- 인프런sql강의
- Algorithm
- sql
- WHERE
- 머신러닝
- sql오답노트
- 머신러닝강의
- 코세라머신러닝강의
- 코세라강의
- map
- sorted
-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 경제공부
- 프로그래머스SQL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3)
미래를 예측하는 데이터분석가

문제 설명 매운 것을 좋아하는 Leo는 모든 음식의 스코빌 지수를 K 이상으로 만들고 싶습니다. 모든 음식의 스코빌 지수를 K 이상으로 만들기 위해 Leo는 스코빌 지수가 가장 낮은 두 개의 음식을 아래와 같이 특별한 방법으로 섞어 새로운 음식을 만듭니다. 섞은 음식의 스코빌 지수 = 가장 맵지 않은 음식의 스코빌 지수 + (두 번째로 맵지 않은 음식의 스코빌 지수 * 2) 조건 scoville의 길이는 2 이상 1,000,000 이하입니다. K는 0 이상 1,000,000,000 이하입니다. scoville의 원소는 각각 0 이상 1,000,000 이하입니다. 모든 음식의 스코빌 지수를 K 이상으로 만들 수 없는 경우에는 -1을 return 합니다. scoville K return [1, 2, 3, 9..
BFS vs DFS DFS와 BFS를 직관적으로 잘 보여주는 그림이다. 1. DFS (Depth First Search) : 깊이 우선 탐색 말 그래로 그래프 또는 트리에서 깊이를 우선하여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 주로 사용하는 목적은 모든 노드를 방문하고자 할 때 쓰임 1-1 순환하는 원리 DFS 알고리즘은 스택을 이용해 구현할 수 있다. 1-2 알고리즘 스택의 DFS 과정 4 3 3 2 2 2 1 1 1 1 0 0 0 0 0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3 2 2 1 1 1 0 0 0 0 여섯 번째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열 번째 열한 번째 하나씩 벽돌을 쌓듯이 쌓다가 마지막에 들어온 순서대로 차례로 나가는(Last In First Out, LIFO) 원리로 트리가 순환하게 됩니다...

문제 설명 두 수를 입력받아 두 수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배열의 맨 앞에 최대공약수, 그다음 최소공배수를 넣어 반환하면 됩니다. 조건 두 수는 1이상 1000000이하의 자연수입니다. n m return 3 12 [3, 12] 2 5 [1, 10]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유클리드 호제법을 알아야 합니다. 유클리드 호제법 : 2개의 자연수 또는 정식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호제란 ? 두 수가 서로 상대방 수를 나누어서 결국 원하는 수를 얻는 알고리즘을 뜻한다. 예시 1071은 1029로 나누어떨어지지 않기에 1071을 1029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 42 1029는 42로 나누어떨어지지 않기에 1029를 42로 나눈 나머지를 구..

Machine Learning by professor Andrew Ng in Coursera Day 3 - What is Machine Learning? 이번 시간에는 선형대수에서 기본인 행렬과 벡터에 대해 쭉 배웠다. 행렬을 곱할 때 m x n 과 n x 1 이면 m x 1의 벡터가 나온다 (즉, m차원의 벡터를 뜻한다). m x n 행렬과 n x m의 행렬의 경우는 곱하면 m x m의 행렬이 나온다. 여기선 I (Identity) Matrix 즉 항등행렬이며 대각원소의 값이 모두 1이고 나머지는 모두 0인 행렬을 말한다. 항등행렬과 어느 행렬을 곱해도 값이 값이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마미막으로 역행렬에 대해 배웠고 그것으로 1주차 마지막 강의는 마무리가 되었다. 선형대수를 교양으로 듣고 공부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