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예측하는 데이터분석가

테셋 TESAT 하루 3문제 210831 본문

경제공부/테셋(TESAT)

테셋 TESAT 하루 3문제 210831

잘하다연 2021. 8. 31. 15:19

1. 에코플레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환경(ecology)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

B) 환경기준 강화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면서 물가가 급등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C) 제조업체들이 환경 친화적 생산기법들을 도입하지 않으면 영업이익이 감소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D) 세계자원연구소(WRI)와 컨설팅 회사인 AT커니가 이와 관련된 보고서를 발표한 이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E) 제조업 제품의 환경 친화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정답 : E

해설 : 에코플레이션은 환경(Ecology)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 인플레이션을 의미한다. 세계자원연구소(WRI)와 세계적 컨설팅 기업 AT커니는 각 제조업체들이 당장 환경친화적인 생산 기법을 도입하지 않는다면 영업이익이 2014년까지 13~31%, 2018년까지는 19~47%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이미 세계 각지에서 자연재해가 빈번해지거나 심해지는 만큼, 기후변화에 대한 대책을 당장 수립하지 않으면 환경 재앙으로 인한 비용이 소비재 생산에 반영될 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2. 다음 중 물가상승을 유발하는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A) 원화가치가 하락한다

B) 민간의 저축이 증가한다

C) 정부가 정부 지출을 증가시킨다

D) 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상승한다

E)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증가시킨다

 

정답: B 

해설 :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은 기업들이 완제품 가격을 올리게 만드는 요인이다. 일부 기업은 미리 확보해둔 원자재 재고를 활용해 완제품 가격 인상을 피하거나 늦추려 할 수 있다. 하지만 원자재 가격이 계속 올라가면 완제품 가격 상승을 유도해 물가 상승을 부채질한다. 원화가치 하락은 원자재 수입비용을 증가시켜 물가상승 요인이 된다. 환율이 달러당 1200원에서 1500원으로 상승하면 원자재 가격이 1달러로 동일하더라도 수입비용이 늘어난다. 정부 지출 증가와 중앙은행의 통화량 증가는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게 만든다. 이처럼 돈이 많이 풀리면 종전과 같은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할 때 더 많은 돈을 내게 된다. 이와 달리 민간의 저축 증가는 시중 자금을 감소시키므로 물가상승을 유발하는 원은으로 보기 어렵다. 

 

3. 각 회사의 재무상태가 다음과 같을 때 다른 영업 관련 사항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경제 여건의 변화에 따른 순이익의 변동폭이 가장 작은 경우는?

 

A) 자산 100 부채 10 자본 90

B) 자산 100 부채 25 자본 75

C) 자산 100 부채 50 자본 50

D) 자산 100 부채 75 자본 25

E) 자산 100 부채 90 자본 10 

 

정답: A

해설 : 부채가 많을수록 이자비용이 커져 이익을 낼 수 있는 손익분기점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부채가 적어야 경기 금리 등 경제 여건의 변화에 따른 순이익의 변동폭이 작다. 레버리지 효과를 묻고 있는 문제다. 

'경제공부 > 테셋(TESA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셋 TESAT 하루 3문제 210830  (0) 2021.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