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알고리즘
- groupby
- WHERE
- sql
- Machine Learning
- 머신러닝
- Andrew NG
- 인프런sql강의
- 경제공부
- coursera
- 머신러닝강의
- POP
- 코세라
- 코세라머신러닝
- Algorithm
- 파이썬
- map
- sorted
- sql오답노트
- 프로그래머스SQL
- DATE_FORMAT
- 코세라머신러닝강의
- orderby
- 안드류응
- programmers
- PYTHON
- SQL공부
- 코세라강의
- 프로그래머스
- mysql
Archives
- Today
- Total
미래를 예측하는 데이터분석가
[python] folium 지도 시각화 본문
folium 지도 시각화
1. 필요한 라이브러리
우선 지도 시각화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불러오는 작업이 필요하다.
import json
import folium
import pandas as pd
2. 시각화에 필요한 데이터 프레임
df = pd.DataFrame({'index':['창원시의창구','창원시성산구','창원시진해구','창원시마산합포구','창원시마산회원구'],
'count':[30,20,50,10,90]})
df
라이브러리 folium으로 창원시 구의 count에 따른 지도 시각화를 할 예정이다.
[Output]
index count \
0 창원시의창구 30
1 창원시성산구 20
2 창원시진해구 50
3 창원시마산합포구 10
4 창원시마산회원구 90
3. 지도의 정보가 들어가있는 json파일
시각화를 하기위해서는 json파일이 필요한데 나는 여기 올라와있는 깃헙의 파일을 다운받아 사용했다.
json 깃헙에서 제공 : json파일
하지만 창원시의 데이터만을 들고와 편집했다.
[Output]
{'type': 'FeatureCollection',
'features': [{'type': 'Feature',
'properties': {'code': '38115',
'name': '창원시진해구',
'name_eng': 'Jinhaegu',
'base_year': '2013'},
'geometry': {'type': 'Polygon',
'coordinates': [[[128.74342173830925, 35.163933102810184],...
}
다음과 같이 type안에 features안에 properties안에 name이 창원시만을 포함하고 있다.
4. folium으로 지도 시각화
map = folium.Map(location=[35.2258,128.6075],zoom_start=9,
tiles='Stamen Toner')
map.choropleth(geo_data = geo_str,
data = df,
columns = ('index','count'),
fill_color = 'PuRd',
key_on = 'feature.properties.name')
map
- location : 창원시의 위도, 경도
- zoom_start : 얼마나 확대할지 사이즈
- tiles : map의 디자인 종류
- fill_color : 지도의 색을 칠할 색상칼러
- key_on : json파일에서 지역명이나 이름이 포함되어있는 위치
5. 시각화 결과
